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위축성 위염 이란 무엇인가 (증상과 예방법)

건강

by 생활팁 2020. 12. 2. 11:10

본문

위축성 위염 이란 무엇인가 (증상과 예방법)

 

점점 소화력이 떨어지고 더부룩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위염이 아닐까 싶어 위염에 대해 알아본다. 위염에는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축성 위염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을 알아본다. 

위축성위염이란? 

위의 표면 점막에 염증이 생겨 얇아진 상태를 말한다고 한다. 즉 만성위염의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라고 보면된다. 

위염은 급성위염과 만성위염으로 나뉘는데, 위축성 위염은 만성 위염에 속한다. 

만성위염은 염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위축성위염은 위샘이 손상된 상태로, 위 점막이 장 점막처럼 변하는 장상피화생을 거치게 되면 위암까지도 진행될 수 있다고 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위축성위염 증상

위 점막이 얇아졌다고해서 건강이나 소화 기능이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 10% 정도가 갖고 있을 정도로 흔한 형태라고 할 정도이다. 

 

만성위염의 대표증상인 상복부 불쾌감, 복통, 속쓰림, 소화불량,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뚜렷한 위축성 위염의 증상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한다. 

이렇게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위내시경을 할 때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위축성 위염의 원인은 무엇인가

 

가장 큰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으로 위 점막의 세포가 위축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위에 염증을 일으키고 이 상황이 지속되어 위축성 위염으로 발전된다. 

 

그 외에 환경적인 요인도 위축성 위염의 원인이 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짜고 매운 음식을 즐겨 먹는 식습관, 흡연, 음주, 카페인 과다 섭취 등이다. 

아래의 그림에 오른쪽이 위에 부담없는 음식, 왼쪽이 위에 부담되는 음식이다. 

생강, 허브티, 블루베리, 아봍카도, 과일주스 등이 좋고, 커피, 설탕, 탄산음료, 초콜릿, 옥수수, 빵 등이 부담이 된다. 

 

 

추가로 아스피린이나 소염진통제같은 약물에 반응해서 위염이 생길 수 있고, 스트레스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도 위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자가면역성 요인도 위축성 위염의 한가지 요인이며, 위암, 위궤양 등 위장 수술 후에도 위축성 위염이 생길 수 있다. 

 

 

치료할 수 있는 병인가?

 

위축성 위염이 있다고해서 특별한 치료를 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기가 어려운 질병이기 때문이다.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 위축성 위염은 위암의 발생을 높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축성 위염을 진단받으면 주기적으로 1~2년에 한 번씩 위내시경을 받는 것이 좋다.

위축성 위염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나중에 위암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을 받은 후에는 신경을 써야한다. 일단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고하면 겁이 나기 마련이다. 

 

또한 헬리코박터 균을 없애는 치료를 받기도 한다. 

 

 

 

위축성 위염 예방법

위축성 위염을 예방하는 식이요법도 특별한게 없기는 하다.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고, 음주, 흡연 등은 위축성 위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끊는 것이 좋겠다. 

 

튀기거나 구운음식보다는 삶거나 찐 음식으로 소화가 잘되는 조리방식으로 개선하고, 생선이나 해산물, 채소, 향신료를 줄인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암으로 발전되는 가능성은 있지만 높은 수치는 아니기때문에 지나친 염려를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하지만 진단을 받으 은 후 방치를 하는 것은 위험하고, 꾸준한 관리와 검진을 하는 것은 필요하다. 

 

위에 자극이 되지 않도록 싱거운 음식과 과일, 야채 등을 많이 섭취하면서 식습관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부터 시작해야할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