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정상 혈압 수치기준보다 혈압이 높은 것을 뜻합니다. (수축, 확장기 140/9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더 자세한 고혈압의 뜻과 원인은 아래 포스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여러가지 위험한 합병증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고 알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증상과 위험성이 있는지 확인해봅니다.
특징적인 증상이 없기때문에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고혈압을 진단받았음에도 치료를 미루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 경우,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되겠죠.
고혈압의 증상은 두통, 어깨결림, 가슴 두근거림, 이명 등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 증상만으로는 고혈압을 알아차리기에는 애매하죠.
그리고 혈압이 심각하게 올라 가기 전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고, 심지어 혈압이 심각하게 올라가더라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만약 평소와 다른 컨디션을 느낀다면, 혈압체크를 주기적으로 해보고, 병원에 방문해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은 혈압체크로 진단해낼 수 있는 점은 그나마 다행입니다.
만약 본인이 고혈압인 것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팔다리가 저리다거나, 마비가 오거나, 호흡곤란,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곧바로 병원에 방문해야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뇌, 심장, 신장 등에 문제가 나타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혈압이 높은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신체의 여러 부위에 합병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혈압의 증상은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때문에 나타나기 때문에 평소 혈압체크를 주기적으로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뇌졸증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신부전
고혈압성 망막증
대동맥박리증
고혈압의 합병증은 굉장히 위험한 질병들이 많습니다. 고혈압 치료에 힘써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위험한 합병증의 예방입니다.
최근에 젊은 층에서 고혈압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 경우 중장년층에 비해서 진행속도가 빠른편이라고 합니다. 또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서 더욱 위험한 편입니다.
가족 중에 고혈압 환자가 있다면, 건강관리를 특별히 잘 해야합니다.
1. 적정 체중 유지하기
과다체중인 사람이 고혈압의 위험이 훨씬 높다고 합니다. 체지방 증가가 혈압을 더 높게 만들 수 있으니, 과체중이라면 체중을 줄이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데에 도움이 됩니다.
2. 식단 조절하기
2-1. 야채 섭취 늘리고 동물성 지방 섭취 줄이기 : 과일과 야채를 많이 먹고, 포화지방산이 많은 음식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2-2. 저염식: 나트륨이 많은 음식은 고혈압에 매우 좋지 않다고 합니다. 소금을 덜 먹는 것 만으로도 혈압치료의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추가로 칼륨이나 비타민, 미네랄이 많이 든 음식을 먹는 것도 고혈압 예방에 좋습니다.
3. 신체활동 하기
평상시에 꾸준한 운동을 하면 심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혈압 상승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라면 꾸준한 운동을 필수 입니다. 운동 자체로 혈압이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니,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가벼운 운동이라도 꼭 하도록 합시다.
만약 운동을 하는 중, 가슴이 답답하건, 어지러움, 통증, 호흡곤란, 심한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즉시 운동을 멈추고 병원에 가도록 해야합니다.
4. 금연, 절주, 스트레스 조절
기본 건강관리에 속하는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역시 중요합니다. 고혈압은 한 번 얻으면 치료가 없다고 볼 정도인 병입니다. 꾸준한 건강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고혈압을 진단 받은 후,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한 번 복용을 하면 평생 복용해야한다고 합니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매우 다양한 요인으로 고혈압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그래도 혹시라도 의심이 된다면 바로 진찰을 받고 건강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