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강한 햇빛은 피부에 매우 좋지 않다. 비타민D를 위해 적절한 햇빛을 쬐는 것은 좋지만, 자외선 지수가 높은 강렬한 햇빛은 오히려 독이 된다. 강한 햇볕에 노출후에 갑자기 가렵거나 발진이 생기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는데, 햇빛알레르기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이 포스팅에서 햇빛알레르기 증상과 대처방법, 예방법을 알아본다.
햇빛에 노출되고 나서 노출부위 피부가 가렵거나 두드러기같은 발진이 나타나는 현상을 햇빛알레르기라고 한다.
# 햇빛알레르기 원인
단지 늘 있는 햇빛을 쪼였다고 두드러기가 나는 증상에 황당하기도 한데, 주요 원인은 태양광선이라고 한다. 이외에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 물론 유전적인 원인도 있을 거라 추측은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추가로 햇빛을 차단하려고 바른 자외선차단제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오히려 햇빛알러지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 햇빛알레르기 증상
특히 여름에 강렬한 햇빛으로 인해 햇빛알레르기를 겪는 사람이 많다.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눈으로 확인이 된다.
화상입은 것 처럼 피부가 따갑거나 가렵고, 피부가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두드러기처럼 피부가 붉어지고, 발진이 생기며, 심하면 물집이나 진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통증과 함께 좁쌀처럼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출혈까지 생길 수 있다.
평소에는 햇빛이 노출이 안되다가 갑자기 강한 햇빛에 노출이 되는 경우,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려움이 동반될 때 긁으면 상황이 악화되니 절때 긁지 않도록 하자. 햇빛알레르기의 치료는 자연적인 치료가 대부분이다.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완화되면서 결국 치유가 된다. 이 기간에는 햇빛을 최대한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은 하루에서 이틀정도면 회복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증상이 약할 때에 해당되고, 만약 증상이 물집이 생길 정도로 심하다면 병원에 방문하도록해야한다. 스테로이드 크림을 바르거나 약처방이 있을 수 있다.
또 2차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병원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한번 겪은 후 만성화되기 쉬워 증상을 겪은 후에는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법을 잘 따르는 것이 좋다.
햇빛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노출을 줄이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다.
주로 봄부터 여름, 초가을까지 햇빛이 강할 때 햇빛알레르기 환자가 많이 나온다. 이 시기에는 피부가 직접적으로 태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태양에 적응할 수 있게 조금씩 야외활동을 늘리는 것이 좋다.
하루 중 햇빛이 가장 강한 시간대는 오전 11시 ~ 오후 4시 정도이니, 이 때 외출을 하게 된다면 햇빛 노출을 염두하고 외출 준비를 하도록 하자.
강한 햇빛노출이 예상된다면 긴 옷과 모자를 착용해서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자. 가능하면 자외선차단 기능이 있는 기능성 옷을 입는 것이 더 좋다. 자외선 차단제도 빼놓지 말고 바르도록 하자.
그리고 피부가 약해져 있다면 햇빛알레르기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평소에 피부 보습에 신경쓰는 것이 좋고, 심한 다이어트나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약해진 경우에도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니 평소 건강관리, 스트레스 관리를 꾸준히 하는 것은 기본이다.
여름철 햇빛노출로 인해 발생되는 햇빛알레르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직까지는 햇빛때문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햇빛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가볍다면 며칠 지켜보고, 물집이 생길정도로 심하다면 당장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
여름철 외출시에는 더워도 직접적인 피부 노출은 피하는 것이 피부건강을 지키고 일사병도 예방하는 방법으로 보인다.